백본망, 접속망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전송망에는 회선망(전용회선서비스), IP망(인터넷서비스)이 나눠지며 이용기관을 통해 서비스 플랫폼(인터넷전화)을 활용할 수있다.
구분 | 사업자 | 서비스 영역 |
---|---|---|
회선 서비스 그룹 | KT, LG유플러스, SK컨소시엄 (SK텔레콤·SK브로드밴드) |
|
IP응용 서비스그룹 |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
|
정보화 도약기(1980년대), 정보화 성숙기(1990년대), 정보화 확산기(2000년대)로 나눠지며 1980년~2000년까지의 정책은
제1차 국가기관전산망 기본계획수립(1987)인프라 → 국가기간전산망(1987.5~1996)
제2차 국가기관전산망 기본계획수립(1992)인프라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 종합계획 수립(1995) →초고속국가망(NII)사업(1995~2005.12)
정보통신망 고도화 추진계획수립(1988)
초고속정보통신망 고도화 기본계획 수립(2001)
광대역 통합망(BcN) 구축 기본계획 수립(2004)인프라 →전자정부통합망 사업(2004.8~2009.6) → (전자정부통신망 사업(2006.1~2009.8))
U-센서네트워크(USN)구축 기본계획 수립(2004)
행정기관통합망 통합정비계획수립(2008)인프라 → 국가정보통신서비스 1.0(2009.7~2012.말)
국가정보통신기반 고도화 계획 수립(2012)인프라 →국가정보통신서비스 2.0(2013.4~2016.6)
거버넌스 4대 중과제에는 국가정보통신 콘트롤타워 설립, 융합촉진형, 법·제도 정비, 국가정보통신 실무 선진화, 활성화·산업화 추진기반 수립으로 되어 있으며 거버넌스 가지사슬에는 수요→기술→활용으로 정책이 이루어져 있고, 거버넌스 추진전략에는 선순환→상호협력→통합으로 전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디지털 융복합 가속화, 부처간 상호협력 미비, 통합추진 부재로 국가사업 비효율 극대, 법·제도 및 표준화 미비, 서비스 다양화로 관리 효율성 저하 이 항목들이 국가정보통신기반으로 되어 있다.
<기관별 주요역할>
구 분 | 주요 역할 |
---|---|
(주관기관) 행정안전부 |
|
국가정보통신 인프라 이용기관 협의회 |
|
(전문기관) 한국정보화진흥원 |
|
(사업자) KT, LG유플러스,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