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 비전 및 전략
HOME > 업무안내> 디지털정부국> 전자정부총괄> 전자정부 비전 및 전략
전자정부 추진방향
추진목표, 추진주체, 서비스, 핵심수단의 내용이 있는 전자정부 추진방향표입니다.
추진목표 |
추진주제 |
서비스 |
핵심수단 |
효율성/투명성 ▼ 지속가능한 발전 |
행정분야 민관협력 ▼ 정치·사회분야 파트너십 확산 |
분절화된 맞춤형 서비스 ▼ 통합된 개인화 서비스 |
PC·인터넷 중심 ▼ 지능정보 기술 활용 |
- 효율성·투명성 제고에서 복지·재난·생활안전·환경 등 사회 全분야의 현안 해결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견인(Enabler)
|
- 행정분야 뿐만 아니라 e-Democracy 등 정치·사회 분야까지 민관협력을 확대하여 공공서비스의 사회적 생산과 전달 활성화
|
- 특정 이벤트 중심의 분절화(Segmented)된 맞춤형 서비스에서 국민 개개인의 복합적 속성과 요구를 반영한 통합된(Integrated)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전환
|
- PC·인터넷 중심의 정보기술 활용에서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온·오프라인 통합(O2O), 개방형 플랫폼 등 지능정보기술 중심으로 활용
|
▼
새로운 전자정부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정부·기업·시민단체·개인이 협업하는 신생태계를 기반으로 정부혁신과 지속가능발전 견인
비전과 전략
새로운 디지털 경험으로
국민을 즐겁게 하는 전자정부
Enjoy Your e-Government!
-
국민감성
서비스
Citizen Experience
-
지능정보 기반
첨단행정Intelligent Gov.
-
지속가능
디지털 뉴딜Digital New Deal
-
E
정부서비스 Re-디자인Enhance Digital Experiences
- ‘All Digital 제로스탑’ 정부서비스 완성
- 지능정보 기반 온디맨드 공공서비스 활성화
- DIY(Do It Yourself) 공공서비스 구현
-
N
인지·예측기반 지능행정 실현 New-building Intelligent Gov.
- 지능정보 기반 행정혁신
- 시공간 제약 없는 O2O 행정 실현
- 데이터 정부(Data-centric Gov't) 기반 확립
-
J
산업과 상생하는 전자정부 신생태계 조성Joining eGov Eco-system
- 공공선도형 새로운 디지털 산업 육성
- 사회적 협업을 통한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
- 미래를 대비하는 창의적 디지털 인재 양성
-
O
신뢰 기반 미래형 인프라 확충 Organizing Trust Infrastructure
- 초연결(Hyper-Connected) 전자정부 플랫폼 구축
- 위험인식형 자기보안 인프라 구축
-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행정정보 인프라 구축
-
Y
글로벌 전자정부 질서 주도 Yes! K-eGov
- 親한국 생태계 조성을 통한 세계 시장 선점
- 글로벌 전자정부 Forerunner
- 글로벌 전자정부 수출 강국 공고화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실행계획 및 지능형 정부 기본계획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