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자주 찾는 정보
메인 화면에서 행정안전부 메뉴를 빠르게 접속 할 수 있도록 메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대 6개 지정)
정보화마을 운영
정보화마을 사업 목적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 속에서 정보화에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농·산·어촌에 정보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정보화 교육을 제공하여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지역주민 주도의 자립형 마을공동체 육성 지원
- 지역 특산물, 자연자원 등을 정보콘텐츠로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고, 전자상거래를 통해 특산품 및 체험상품을 판매하여 실질적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관계법령
- 전자정부법 제65조(지역정보화사업의 추진 및 지원)
정보화마을(INVIL(인빌) : Information Network Village) 사업 개요
- 지역정보화 기반 마련 및 정보격차 해소
- - 마을정보센터, 마을홈페이지 등 정보기반을 구축하여 농산어촌 주민에 정보접근기회 제공
- - 정보화마을을 운영하고 마을주민에게 정보화 교육을 제공하는 정보화지도자 육성 지원
- 정보 콘텐츠 개발 및 운영
- - 정보화마을 홈페이지(www.invil.org)를 운영하여 마을 주민 간, 마을주민-도시고객 간 정보소통 채널 제공
- - 정보화마을의 특산품 등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마을 자립기반 마련
- 마을운영위원회 조직·운영
- - 마을마다 자체적으로 10명 내외의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마을 운영위원회’를 조직하여 주도적 마을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정보화마을 홍보 및 브랜드 구축
- - 정보화마을의 브랜드 확립을 통한 사업의 실질적 성과창출을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 및 행사를 추진
- 인빌쇼핑 : 정보화마을의 특산품 및 엄선된 농수산물을 직거래방식으로 저렴하게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사이버장터로서 매년 온라인 판매량이 증가하여 농어촌의 수익 증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
- 인빌체험 : 마을별 특성에 맞게 개발된 농촌체험, 주말농장, 테마여행 등을 통해 방문하는 이들에게 건강한 휴식과 교육적인 체험을 제공
- 인빌뉴스 : 주민이 직접 기자가 되어 마을에서 일어나는 생생한 소식을 빠르고 정감있게 취재·작성한 기사 커뮤니티로서, 화상채팅, 동호회, 블로그, 메신저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마을 주민 간의 의사소통 수단일 뿐 아니라 농산어촌과 도시민이 서로 교류하는 장
- 정보채널 : 유익한 생활정보와 농산어촌의 생업에 필요한 전문정보까지 알차게 제공
정보화마을 현황(252개마을)
* 2022년 7월 8일 현재 기준
정보화마을 운영성과
- 2011년 UN 공공행정상(PSA : Public Service Awards) 1위 수상
- 정보화마을 사업을 배우기 위한 해외 벤치마킹단 방문(총 245회, 169개국 3,900여명)
- 정보기반 구축 및 지역주민 정보화교육으로 각종 민원 서비스를 스스로 받는 등 정보이용 생활화를 통해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
- e-Commerce를 통한 직거래 추진으로 유통마진을 최소화하여 마을 공동 수익을 신장시켜 마을의 경제적 자립에 기여
- 기존 Top-down방식의 사업과는 달리, 시작부터 주민 자발적으로 참여하는‘마을 운영위원회’를 조직하여 주도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