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1번가 열린소통포럼 운영
* ’18.5. 서울열린소통포럼 공간(서울청사 별관1층) 개소 / ’19.5. 세종열린소통포럼 공간(세종청사 종합안내동1층) 개소
* (’18) 정기포럼 10회 및 현장포럼 1회 개최, 72개 정책제안 발굴, 45개 정책반영 (채택률 62.5%)
* (’19) 정기포럼 8회 및 현장포럼 3회 개최, 60개 정책제안 발굴, 48개 정책반영 (채택률 78.3%)
* ’18년 5~12월 26개 기관 170회, ’19년 1~11월 23개 기관 246회 활용
‣ ’18.5.~’19.12. 총 14,898명(국민 8,376명, 공무원 6,522명) 포럼 공간 이용
광화문1번가 국민참여플랫폼 운영
* ’19.1.31. 서비스 개시(www.gwanghwamoon1st.go.kr)
(혁신제안톡)국민이 정부에게 제안한 사항이 다른 국민들로부터 30일 이내 30명 이상의 공감을 얻으면 정부혁신추진협의회에서 논의하여
정책반영 추진
(협업이음터) 사업을 추진하면서 다른 기관과의 협업이 필요할 때, 민간·공공의 협업 짝궁을 찾아 이어주는 ‘열린 협업 공간’
(협업 아이디어 제안) 생활 속 국민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정기관 간 또는 행정기관과 민간기업이 협업할 수 있는 정책 아이디어 제안
(국민심사) 정부에서 실시하는 각종 정책 및 서비스 우수사례에 대한 대국민 심사
(설문참여) 정책 결정 과정에서 국민의 선호도 또는 의견조사
(공모참여) 정책 추진에 필요한 국민의 아이디어 및 의견 수집 등
(국민신청 정책실명제) 기존의 행정기관이 수립, 시행하는 주요 정책에 관련된 사람의 실명과 의견을 기록·관리하는 제도, 정책실명제 대상사업 중 국정과제, 대규모 예산 및 연구용역 등 중점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사업은 사업내역서를 통해 사업명, 추진배경, 주요추진내용, 기안자부터 결재자까지의 실명 등을 국민에게 공개
(조직진단 참여) 조직·인력운영, 업무처리 방식과 절차 등의 진단에 참여할 국민 모집 및 진단사례 공개
(국민디자인단) 국민과 공무원이 함께 공공 정책·서비스를 설계하는 국민디자인단 운영 방법 안내 및 우수사례 선정·공개
(열린소통포럼) 정책토론이 필요한 이슈를 발굴하고 국민과 토론하여 정책반영
(소통공간 시청) 토론과 세미나 등을 위한 공간을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에 마련, 이용일 3일 전까지 신청하여 이용 가능
※ 추진 절차 : 문제발굴 → 아이디어 공모 및 시상 → 아이디어 숙성 지원 → 정책 환류
(국민참여 일정) 국민참여 행사 및 프로그램 등을 안내
(참여 창구 모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국민참여 홈페이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