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철 발생하는 재난안전사고 중점 관 ...
- 2019.12.16.
KTV 뉴스
임보라 앵커>
정부가 이번 겨울에 중점관리 해야하는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예방 대책 등을 발표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
서울·경기, 교통안전 1위···범죄안 ...
- 2019.12.16.
KTV 뉴스
이혜은 앵커>
내가 사는 곳이 얼마나 안전한지 알 수 있는 올해 '지역안전지수'가 공개됐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이혜진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이혜진 기자>
지역안전지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높이고,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공개됐습니다.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와 생활안전 등 6개 분야의 지역별 안전수준을 보여줍니다.
조사 결과, 교통사고 분야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1등급을 받은 서울과 경기 지역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화재는 광주와 경기, 범죄는 세종과 경북이 1등급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안전했습니다.
전국적으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1년 전과 비교해 10.4% 줄었습니다.
반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지난 3년간 줄어들다 지난해부터 늘었습니다.
자살과 C형 간염·인플루엔자 등 법정감염병 사망자가 크게 증가한 영향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자살 사망자가 10대와 3,40대, 60대에서 크게 늘었습니다.
10대 자살은 정신적 요인이 컸고, 3,40대는 경제적 문제로, 60대는 질병 탓에 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제협력기구 (OECD) 평균과 비교해 화재와 범죄, 생활안전 부문은 양호하지만 교통사고나 자살, 감염병 사망자 수는 더 많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양세형)
특히 자살과 감염병 통계는 전국 모든 지역 수치가 OECD 평균보다 높았고, 군 지역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내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안전이 취약하거나 안전개선 노력을 하는 지자체에 지원하고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과 함께 해당 지역의 맞춤형 안전개선 사업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
열린정부파트너십(OGP) 대표단 면담
- 2019.12.12.
행정30초뉴스
열린정부파트너십(OGP) 대표단 면담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이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정부파트너십(OGP) 대표단을 접견하고 마리아
바론 시민사회의장과 열린 정부 국제협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촬영 편집 : 김경현(대변인실) 044-205-1045
-
-
제6기 책임운영기관 운영위원회 출범
- 2019.12.11.
KTV 뉴스
김유영 앵커>
제6기 행정안전부 책임 운영기관 운영 위원회가 오늘 첫 회의를 열고 출범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부위원장에 김근세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위촉하고, 행정. 경영. 회계 현장분야 전문가 9명도 민간 위원으로 위촉했습니다.
운영위는 책임운영기관의 존속 여부와 제도 개선 등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고 53개 책임운영기관의 종합평가를 수행합니다.
-
-
서울·경기, 교통안전 1위···범죄안 ...
- 2019.12.11.
KTV 뉴스
김용민 앵커>
내가 사는 곳이 얼마나 안전한지 알 수 있는 올해 '지역안전지수'가 공개됐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이혜진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이혜진 기자>
지역안전지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높이고,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공개됐습니다.
교통사고와 화재, 범죄와 생활안전 등 6개 분야의 지역별 안전수준을 보여줍니다.
조사 결과, 교통사고 분야에서 가장 안전한 곳은 1등급을 받은 서울과 경기 지역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화재는 광주와 경기, 범죄는 세종과 경북이 1등급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안전했습니다.
녹취> 서철모 /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
"특히 광주광역시는 3개 분야에서 2개 등급 이상을 개선했고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하위등급이 없었으며 화재와 감염병 분야는 1등급으로 상승했습니다."
전국적으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1년 전과 비교해 10.4% 줄었습니다.
반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지난 3년간 줄어들다 지난해부터 늘었습니다.
자살과 C형 간염·인플루엔자 등 법정감염병 사망자가 크게 증가한 영향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자살 사망자가 10대와 3,40대, 60대에서 크게 늘었습니다.
10대 자살은 정신적 요인이 컸고, 3,40대는 경제적 문제로, 60대는 질병 탓에 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기구 (OECD) 평균과 비교해 화재와 범죄, 생활안전 부문은 양호하지만 교통사고나 자살, 감염병 사망자 수는 더 많습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양세형)
특히 자살과 감염병 통계는 전국 모든 지역 수치가 OECD 평균보다 높았고, 군 지역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내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안전이 취약하거나 안전개선 노력을 하는 지자체에 지원하고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과 함께 해당 지역의 맞춤형 안전개선 사업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
영화배우 이정진 씨를 자원봉사 홍보대 ...
- 2019.12.10.
생생행정
영화배우 이정진 씨를 자원봉사 홍보대사로 위촉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한국자원봉사협의회 등 주요 자원봉사단체, 전국의 자원봉사자 4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전국자원봉사자대회’를 개최 하였다.
‘전국자원봉사자대회’에서는 해외 봉사활동 참여, 장애인 인식개선 활동 등 자원봉사를 통해 선행을 베풀고 있는 영화배우 이정진 씨를 자원봉사 홍보대사로 위촉하는 특별행사도 마련돼 었다.
귀하를 대한민국 자원봉사 참여 의식 고취와 자원봉사 문화 확산을 위한
행정안전부 자원봉사 홍보 대사로 위촉합니다.
(이정진 영화배우)
이렇게 뜻깊은 자리에 전국자원봉사자대회에 저를 초대해 주시고
또 자원봉사 홍보대사로 위촉을 해주셔서
저한테 더욱더 어려운 숙제를 주신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해외 저개발 국가를 많이 다니고 있거든요
네팔에서 경함한 이야기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카트만두에 있었을 때 전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지역이기 때문에
제가 듣기로는 전 세계에 가장 많은 NGO 단체들이 들어와 있다고 합니다.
그 무구라는 지역은 정말 무수히 많은 선진국에서
자기네들도 너무 힘들어서
봉사를 포기한 지역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지금도 끝까지 남아 있고 관심을 갖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그래서 정말 본인들이 봐도
"당신들 대한민국의 자원봉사자들은 자기네가 봐도
대한 한 사람이다" 라고 이야기했었을 때 ...
제가 가슴이 뜨거워 지 더라고요..
그곳에서 사람들이 저한테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그런 델 많이 가면 봉사하고 누구 도와줘서 대게 좋겠다고"
그런 면 저는 그러거든요.
"저 배우러 간다고"
그분들 많나 면 저는 참 좋습니다.
배우러 가고 저는 돕는 게 아니라 "봉사는 나누는 겁니다"
*촬영 편집 : 대변인실 김경현(044-205-1045
-
-
전국 자원봉사자들이 한 자리에, 축제 ...
- 2019.12.09.
생생행정
전국 자원봉사자들이 한 자리에, 축제가 펼쳐진다!
- 제14회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 전국자원봉사자대회 개최 -
우리사회를 따뜻하게 만드는 ‘전국자원봉사자대회’를 개최 자원봉사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자원봉사분야 최대의 축제가 펼쳐졌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한국자원봉사협의회 등 주요 자원봉사단체,
전국의 자원봉사자 40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전국자원봉사자대회’를 개최하였다.
12월 5일 UN이 정한 자원봉사자의 날, 2005년부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상 기념일로 지정해 올해로 14회째를 맞았다.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에서는 ‘2019 대한민국 자원봉사대상’ 시상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오랜 기간 헌신적으로 이웃 사랑을 실천해온
개인‧단체‧지자체에게 훈장‧포장·표창수여되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자원봉사자의 날에 이렇게 모이셔서 뮤지컬 공연도 보고
여러 상도 받으시고 여러분 (그동안) 그 사이에 많은 봉사를 해주신 데 대해서
감사와 축하를 드리겠습니다.
자원봉사, 남을 위해서 하는 봉사는 아무나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남을 위해 봉사한다는 게 쉬운 것 같지만 결코 쉬운 게 아니에요 남을 위해서 봉사하는 분들을 보면 공통점이 있어요.
그 공통점은 '마음에 천사가 있는 거예요'
그 천사를 누가 보내주셨는지는 모르지만 여기 계신 분들 다~ 마음에 천사가 있는 거예요~
*촬영 편집: 대변인실 김경현(044-205-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