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20.3.1일부터 유튜브는 인터넷익스플로러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하시려면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를 하시기 바랍니다.
KTV 뉴스 '빈집 리모델링' 부상···지역 소멸 대응

2024.05.20
  • 최대환 앵커>
    출산율이 낮아지고 인구가 줄면서 지역소멸의 위기가 현실화된 가운데, 전남 강진의 빈집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사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귀농, 귀촌을 원하는 이들에게 호응이 높은 걸로 나타남에 따라, 정부가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지선 기자>
    지난해 전남 강진군의 인구수는 3만2천700여 명입니다.
    약 10년 사이 7천 명이 줄면서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 유출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강진군은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해 빈집 리모델링 사업을 벌였습니다.
    남겨진 빈집을 소유주들에게 무상으로 빌린 뒤 리모델링을 해주고 저렴한 가격으로 다시 임대하는 겁니다.
    장기임대의 경우 보증금 100만 원에 임대료는 한 달 1만 원에 불과해 귀농, 귀촌 생활을 꿈꾸는 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75가구가 선정됐으며 45가구가 빈집 리모델링을 마쳤습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직접 현장을 둘러보며 강진군 사례를 다른 지자체에도 확산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이상민 / 행정안전부 장관
    "이런 사례를 널리 전파하고 인구 감소에 대한 대응방안을 함께 고민하면서 지방소멸대응 기금 등으로 아낌없는 지원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국토부 등에 따르면 현재 국내 빈집은 13만2천 가구를 웃돌며 이 중 절반이 인구 감소 지역에 몰려 있습니다.
    정부는 방치된 빈집을 정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처음으로 예산 50억 원을 투입했으며, 2022년부턴 지방소멸대응기금도 조성해 매년 1조 원 규모의 기금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소멸 위기 지역을 중심으로 청년 공유 주거 조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청년세대가 마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정착을 위한 주거지원과 공유사무실, 생활편의시설을 한 공간에 갖추는 건데, 건축비용은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며 강진군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8개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습니다.
    (영상제공: 행정안전부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민혜정)
    정부는 지역 소멸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구현하겠단 방침입니다.

    KTV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체 전체 더보기
  • 개인정보 시스템. #공공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시스템. #공공마이데이터
    2024.06.03.
  • 모바일 주민등록증, 12월 27일 도입
    모바일 주민등록증, 12월 27일 도 ...
    2024.05.31.
  • 수상안전 대책 기간 운영···구명조끼 무료대여소 확대
    수상안전 대책 기간 운영···구명조끼 ...
    2024.05.31.
  • 신규 공무원 징계 시 근무 경력 참작···마약 비위는 엄벌
    신규 공무원 징계 시 근무 경력 참작 ...
    2024.05.30.
  • [레디코리아] 훈련을 실전처럼 항공기 사고 대응 훈련
    [레디코리아] 훈련을 실전처럼 항공기 ...
    2024.05.29.
  •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1366과 해바라기센터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1366과 해 ...
    2024.05.28.
  • 국민 추천, 정부 포상! #국민추천포상!
    국민 추천, 정부 포상! #국민추천포 ...
    2024.05.24.

본관 : 3011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42(어진동) / 별관 : 30116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43(어진동)
정부민원안내콜센터 국번없이 110, 행정안전부 콜센터 02-2100-3399 (월~금 9:00~18:00, 공휴일 제외) / 팩스 044-204-8911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ll rights reserved.

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
Copyright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ll rights reserved.